▶ 기대수명 20년 늘어난 장수세대... 소비풍조로 저축률 낮아 텅 빈 지갑
▶ 비상시 쓸 수 있는 여윳돈 없어... 소셜시큐리티 의존 “언제 깎일지 몰라”
은퇴를 대비한 미국인들의 저축은 크게 줄어들고 있다. 이는 소비위주로 바뀌면서 저축에 등을 돌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은퇴 암울하게 하는 5]
노후생활을 즐기는 은퇴자들의 고민은 모아둔 은퇴자금의 고갈이다. 많은 사람들이 은퇴를 시작하면서 그동안 열심히 일했던 자신에 대한 고마운 마음(?)으로 은퇴 전 씀씀이를 계속 유지해 나가곤 한다. 씀씀이를 줄이지 않는다면 요즘 같은 장수시대에 말년이 어렵게 된다. 젊어서는 열심히 모으고 노년에는 지출을 줄이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다음은 장수시대인 요즘 은퇴를 암울하게 만드는 5가지를 정리했다.
▲ 요즘 세대의 저축률이 이전세대의 절반에 그친다.
1952~1984년 미국의 저축률은 가처분 소득의 11.2%였다. 이 정도면 은퇴 후에서도 충분히 살아갈 수 있는 자금을 조달할 수 있었다. 그런데 1985년부터 소비가 저축을 능가하기 시작해 지금은 고작 5%에 그치고 있다.
1985년부터 2014년까지 저축 총액 손실금은 현재의 달러가치로 무려 1조6,000억달러나 된다. 이는 미국 부채와 거의 맞먹는 액수다.
▲ 저축 대신 연금에 의존한다.
미국의 연금제도가 일반 노동시장에서는 거의 사라지고 없다. 펜션은 주로 연방, 주 등 정부 기관에서만 운영되고 있다.
연금 즉, 펜션은 고용주가 종업원의 봉급과 근무 연한에 의거해 종업원의 은퇴를 대비해 모아두는 은퇴기금이다. 따라서 은퇴 종업원 수가 많아지고 또 오래 살게 되면 고용주가 부담해야 할 금액도 그만큼 늘어난다.
이런 이유로 일반회사에는 펜션제도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
이들 회사들이 1980년대부터 도입하기 시작한 종업원 은퇴기금 제도가 401(k)다. 401(k)는 전적으로 종업원의 저축 의지에 달려 있는 은퇴플랜이다. 펜션이 없는 종업원의 저축비율은 15%에 그친다. 펜션이 없는 근로자들의 은퇴계획은 거의 없다는 점이다.
▲ 비상금이 없다.
저축률이 크게 떨어져 미국인 3분의 1은 비상시 대체할 수 있는 여윳돈이 없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고장 나도 대체할 수 없고, 치아에 문제가 생겨 큰돈이 들어가도 이를 감당할 수가 없다.
이미 크레딧 능력이 없어 친척에게 손을 내밀거나 웰페어에 의존하는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
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미국인들의 소비행렬로 인해 저축할 능력이 점점 없어졌다. 신기술 개발로 인해 스마트폰과 아이패드는 기본으로 갖춰야 하고 자녀들에게 자동차까지 구입해 주고 나면 저축할 여력은 없어지게 마련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우려하고 있다. 정부에서야 국채나 지방채를 발행하고 돈을 찍어 내 이자를 지불하면 그만이지만 개인의 입장에서는 돈을 마련할 길은 거의 없다. 결국 은퇴를 대비한 저축은 줄어들게 되고 한창 때의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이미 은퇴에 임박한 미국인들의 평균 저축은 11만1,000달러에 지나지 않는다. 이 정도로는 고작 은퇴 후 의료비용을 절반도 채 커버하지 못하고 장기 간병대책은 세우지도 못한다.
▲ 장수가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
80년 전 소셜시큐리티 제도가 시작될 때만 해도 65세를 넘겨 사는 사람들이 거의 없었다.
소셜시큐리티국에 따르면 65세 남성의 기대 수명치는 84세이고 여성은 87세이다. 또 이 중 25%는 90세를 넘겨 살 수 있고 10%는 95세 이상 산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15년 전 자료다. 지금은 남성이 86.6세, 여성은 88.8세로 더 늘어났다. 많은 사람들이 65세를 넘어 20년 이상은 더 산다는 말이다.
인간의 기대 수명치는 의학의 발달과 과학기술의 혁신으로 앞으로 더 길어질 것이다. 따라서 나이가 젊을수록 더 많은 은퇴자금이 필요하게 된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펜션 펀드 역시 고갈 위기에 몰리게 된다. 특히 생활비 정산에 따른 지불금 인상을 제공하는 펜션제도를 가지고 있는 정부는 더욱 그렇다.
▲ 소셜시큐리티 및 메디케이드 의존이 높아진다.
소셜시큐리티와 메디케이드에 의존하는 은퇴자들의 비율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는 젊은 노동 계층의 세금부담이 더욱 커져 간다는 말과 같다.
하지만 세율을 높이려면 의회에서 비준을 해야 한다. 그런데 다음 선거를 의식한 정치인들이 세금인상에 선뜻 호응하기란 쉽지 않다. 자칫 기금 고갈로 소셜시큐리티나 메디케이드가 깎일 수도 있다.
결국은 “스스로 모아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김정섭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