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록적 ‘물폭탄’’에 침수·붕괴 잇따라…농경지·주택도 큰 피해

(부산=연합뉴스) 태풍 미탁이 한반도를 관통한 3일(이하 한국시간기준) 부산 사하구 산사태 사고 현장에서 119구조대와 중장비 등이 토사를 걷어내고 있다. 사고 순간 토사가 식당, 공장 건물 3곳을 덮쳐 주민 4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록적인 '물폭탄'을 퍼붓고 지나간 제18호 태풍 '미탁'으로 인한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10명이 사망하고 8명이 다쳤다. 또 부산 산사태 등으로 4명이 실종 상태에 있어 인명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3일(이하 한국시간기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0시30분까지 잠정 집계된 사망자는 모두 10명이다.
이날 오전 9시께 부산 사하구 야산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매몰된 4명 중 65세 여성이 오후 4시께 숨진 채 발견됐다. 이어 일가족 3명 가운데 아들(44)이 추가로 발견돼 사망이 확인됐다.
또 앞서 경북 울진군 울진읍에서는 무너져내린 토사에 주택이 붕괴해 60대 부부가 매몰돼 사망했다.
밤 사이 강원 삼척시에서는 77세 여성이, 경북 영덕군에서는 59세 여성이 토사 붕괴에 따른 주택 파손으로 숨졌다.
경북 포항시 북구 기북면에서는 주택 붕괴로 부부가 매몰됐다. 아내(69)는 구조됐으나 남편(72)은 숨진 채 발견됐다.
강원 강릉시 옥계면에서는 송어양식장 직원인 40대 중국동포 남성이 전날 밤 양식장 점검 중 실종됐다가 이날 정오께 숨진 채 발견됐다. 소방당국은 이 남성이 급류에 휩쓸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북 포항에서는 배수로를 손보던 72세 여성이 급류에 빠져 실종됐다가 숨진 채 발견됐고 전날 오후 9시께 경북 성주군에서도 농수로 물빠짐 작업을 하던 76세 남성이 급류에 휩쓸려 숨졌다.
실종자는 4명으로 집계됐다.
부산 사하구 산사태로 매몰된 4명 가운데 70대 부부는 아직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태다. 수색과정에서 신체 일부가 추가로 발견됐으나 어느 매몰자의 것인지는 바로 확인되지 않아 DNA 분석에 들어갔다.
경북 울진군 매화면에서 1명이 실종됐다는 신고가 들어왔고, 경북 포항시 청하면 한 계곡에서도 1명이 실종된 상태다.
부상자는 8명으로 늘었다.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강풍으로 유리창이 깨지며 3명이 다치는 등 주택 파손·침수 과정으로 부상자가 나왔다.
'미탁'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사망·실종자는 현재까지 14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2000년 이후 태풍에 따른 인명피해(사망·실종 합계) 규모를 보면 2002년 루사(246명), 2003년 매미(131명), 2007년 나리(16명), 2012년 볼라벤·덴빈(11명) 순이다.

(강릉=연합뉴스) 3일(이하 한국시간기준) 제18호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강원 강릉에 30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진 가운데 경포대 경포호 주변 상가 일대가 물에 잠겼다.
이날 새벽까지 30명이던 이재민은 446세대 749명으로 불어났다. 이 가운데 69세대 121명은 귀가했으나 나머지 377세대 628명은 마을회관과 친인척 집, 숙박시설 등에 머물고 있다.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등지에서는 주민 1천546명이 마을회관이나 면사무소 등으로 일시 대피했다.
시설과 재산 피해도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민간시설 3천267건, 공공시설 359건 등 3천626건의 피해가 중대본에 보고됐다.
민간시설로는 주택 1천237곳과 상가·공장 135곳, 농경지 1천861곳 등이 침수·파손됐고 공공시설은 도로·교량 169곳, 상·하수도 24곳, 학교 3곳, 하천 17곳 등이 피해를 봤다.
피해 공공시설 중 95.8%, 민간시설은 15.1%에서 응급복구가 이뤄졌다.
경북, 강원, 부산, 울산, 대구, 제주 등지에서 4만8천673가구가 정전을 겪었다. 이 가운데 약 99%가 복구완료됐으나 울진·삼척·부산 등 산사태나 도로 유실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은 4일 중에 복구될 전망이다.
소방당국은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가동해 전날부터 이날 오후 6시까지 56건·104명의 인명구조 활동을 벌였다. 또 인력 6천718명과 장비 2천218대를 동원해 705곳에서 배수작업을 하고 1천357건의 안전조치를 했다.
항공기 운항은 모두 재개됐으나 일부 여객선은 계속 발이 묶여 있다.
현재 강릉∼독도, 인천∼백령·연평 등 42개 항로에서 여객선 237척의 운항이 통제됐다. 동해·포항·울산항의 선박 입·출항도 계속 제한되고 있다.
한라산·지리산 등 14개 국립공원의 185개 탐방로도 출입이 금지됐다.
전날 오후 9시 40분 전남 해남군에 상륙해 밤사이 남부지방을 관통한 '미탁'은 곳곳에 기록적인 양의 비를 쏟아낸 뒤 이날 오전 동해로 빠져나갔다.
경북 울진에는 시간당 104.5㎜의 비가 내려 1971년 1월 이 지역 기상관측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제주도 고산과 강릉 동해도 시간당 강수량 기록을 경신했다.
정부는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정확한 피해 규모를 파악하는 한편 응급복구와 추가 피해 우려 지역의 안전관리를 계속할 방침이다.

강릉 사천천 유실 제방 응급복구 (강릉=연합뉴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