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이 서부로 직장을 옮긴 후, LA에 갈 일이 종종 생긴다. 딸아이로부터 김치를 보내 달라는 연락이 올 때면, 잠깐 고민을 한다. 속달로 부치면 요금이 비싸고, 그라운드로 보내면 가는 시간 동안 김치가 쉴 것 같다. 그러다 아이도 볼 겸 당일치기로 LA를 휘리릭 다녀온다.
딸이 좋아하는 김치를 종류별로 담근 후, 몇 개의 작은 통에 나누어 50파운드 한 박스로 만들어 화물로 부친다. 아이가 좋아하는 만두까지 화물로 보내기에는 용량 초과라 꽁꽁 얼려서 기내에 들고 탄다. 액체는 아니지만 음식이라 보안에 걸릴까 싶어서 보안 요원 앞에서 생글생글 웃으면서 봐 달라는 신호를 보냈다.
나의 이런 행동이 한국에서 시골에 살던 어른들이 자식들 먹이려고 여러 음식을 보자기에 싸서 머리에 이고 손에 들고, 버스 터미널을 향하는 모습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했다.
LA에 도착하니 26년 전 온 가족이 여행할 때 봤던 우정의 종은 어떻게 변했을까 궁금해졌다. 그래서 산 페드로(San Pedro)에 있는 ‘우정의 종각’을 보러 갔다.
그 중 나이 든 백인이 강아지랑 공놀이를 하고 있었다. “굿 모닝”이라고 인사를 하니, 그 분도 인사를 하면서 한국인이냐고 묻는다. 당연히 한국인이고, 26년 전에 서부 여행할 때 왔던 기억이 있어서, 같은 자리에서 사진을 찍고 싶어서 왔다고 했다. “어디에 사냐”, “버지니아에 산다” 등 간단한 통성명과 호구 조사를 하고 나니, 종에 대해서 설명을 해 주고 싶다고 한다.
내가 오히려 고마워해야 하는 거 아닌가 싶었지만, 그 분은 거꾸로 나에게 바쁠 거 같은데 시간을 내 줘서 고맙다며 종을 돌면서 설명을 해 준다. 그 사람 이름은 Jon. 현재는 은퇴를 했고, 거의 매일 공원을 둘러보고 적어도 일주일에 두 번은 공원 전체를 돌면서 쓰레기를 줍는다고 했다. 태권도를 좋아하는 그는 스스로 전생에 한국인이었을 거라고도 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이 공원은 대포와 무기가 장착된 군사 요새(Fort)였는데, 미국 연방정부가 LA 시정부에 기증을 했고. 1976년 미국 독립 200주년을 맞아 LA에 사는 한인들이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용사들을 기리고, 두 나라간의 우정을 돈독히 하기 위해 한국에서 들여온 종이 바로 우정의 종이라고 설명했다.
누각 코너의 기왓장이 깨진 곳도 있고, 종각에 보수가 필요할 거 같아서 누가 이 종각 관리를 하느냐고 물었다. 주 정부·시 정부·카운티 정부가 서로 대화를 하는 데 의견이 달라서 결론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Jon의 영어 표현을 빌리자면 “부엌에 요리사가 많아서 음식을 망친다”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동시에 뇌로 번역을 해 보니 ‘사공이 많아 배가 산으로 간다’는 영어식 표현 같았다.
종은 월 1회 타종을 하는데, 매월 첫째 주 토요일 낮 12시에 33번의 타종을 한다고 한다. 타종은 누구나 할 수 있으며, 참석을 원하는 사람은 오전 11시45분까지 이 ‘우정의 종각’ 앞으로 가면 종을 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LA 쪽에 가는 분은 미리 종치기 예약을 해도 좋겠다. 문의 (562)234-8633(Jon Wiedenman)
한국에서 새해 보신각 종치기로 뽑히는 것은 올림픽 금메달 따기보다 어렵다고 한다. LA에 갈 기회가 있으면, 첫 번째 토요일로 잡아서 가는 것도 좋겠다. 아이들도 어른들도 좋은 추억이 될 것이다. 종각의 12 기둥의 숫자와 그 의미, 왜 33번 종을 치는 지, 종에 주조된 그림 등 종(각)에 대한 설명은 직접 가서 들어보자.
문의 (703)625-9909
<
로리 정 갤럭시 부동산 대표>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