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對중국 수출통제 직후 베이징행…中경제실세 허리펑·딥시크 량원펑 등 면담

엔비디아 젠슨 황 CEO[로이터]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를 강화한 직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방문했다.
17일 관영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베이징에 도착한 뒤 런훙빈 CCPIT 회장과 회담했다.
황 CEO는 "중국은 엔비디아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계속 중국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미 상무부가 엔비디아 H20 칩의 대중국 수출 통제를 결정한 데 대해서는 "이미 엔비디아 사업에 중대한 영향을 줬다"고 했다고 CCTV는 전했다.
이어 "중국 시장을 30년 깊게 다진 기업으로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과 함께 성장하고 서로 성취한다"며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규모 있는 소비시장 중 하나일 뿐 아니라 왕성하게 발전한 산업 생태와 선도적인 소프트웨어 능력은 우리가 혁신을 지속하는 중요한 동력이 됐다"고 호평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계속 규제 요구에 맞는 제품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데 힘을 아끼지 않을 것이고 흔들림 없이 중국 시장에 서비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AI가 여러 업계의 발전 구도를 심각하게 바꾸고 있지만 그것은 그저 시작에 불과하다"며 "의료·보건이든 금융 서비스든, 기후 과학·기술이든, 제조업이든 모든 업종이 AI가 유발한 전복적 변혁을 맞이할 것"이라고 했다고 CCTV는 전했다.
황 CEO는 이날 저녁에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중국 경제 '실세'이자 미·중 무역 협상 책임자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를 만났다.
허 부총리는 "중국 시장은 투자와 소비 잠재력이 크고 새로운 과학·기술 혁명과 산업 변혁의 최적 환경"이라며 "엔비디아를 포함한 더 많은 미국 기업이 중국 시장을 깊이 다지고 중국에서 산업적 우위와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세계 경쟁에서 앞선 기회를 잡는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에 황 CEO는 "중국 경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며 "중국 시장을 계속 깊이 다지고 미·중의 경제·무역 협력 발전을 위해 적극 역할 할 것"이라고 답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황 CEO가 이날 중국 AI 모델 딥시크를 개발한 량원펑 등 엔비디아의 중국 고객을 만나 이들을 위한 신규 반도체 설계에 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황 CEO가 중국을 찾은 것은 올해 1월 이후 3개월 만이다.
그는 지난 1월 강경한 대중국 압박을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을 앞두고 대만과 중국 엔비디아 지사를 찾았다.
아마존·구글·메타 등 다수의 미국 기술 분야 CEO와 달리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지 않은 채 대만을 거쳐 엔비디아 베이징지사 춘제(春節·음력설) 행사에 참석해 AI를 주제로 연설하고 상하이도 방문했다.
이날 황 CEO의 중국 방문은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에 처음으로 대중국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한 가운데 이뤄졌다. 이날은 특유의 검정 가죽점퍼가 아닌 정장 차림이었다.
엔비디아는 지난 9일 H20 칩 중국 수출 시 당국 허가가 필요하다는 미 당국의 통보를 받았고 14일에는 이 규제가 무기한 적용된다는 통지도 받았다고 밝혔다.
H20 칩이 중국 슈퍼컴퓨터에 사용·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미 정부가 새 규제의 근거로 들었다고 엔비디아는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전임 조 바이든 정부 때인 2022년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국산 최첨단 반도체의 대중 수출을 규제했다.
엔비디아는 규제를 피하기 위해 기존 주력 상품이던 H100 칩보다 성능이 낮은 H20 칩을 제작해 중국에 수출했다. 트럼프 정부는 이 규제를 H20으로까지 강화했다.
H20 칩은 그간 미 정부의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중국에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최고급 사양의 AI칩이었다.
연산 능력은 낮지만, 고속 메모리 및 기타 칩과 연결성이 뛰어나 슈퍼컴퓨터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엔비디아의 최신 AI칩 블랙웰보다 성능은 낮지만 블랙웰에서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장착해 일부 성능이 개선되기도 했다.
H20은 딥시크가 지난 1월 발표해 세계적인 관심을 끈 AI 모델 학습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받은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