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와 풍요로운 결실의 계절”(키이츠)인 가을은 숱한 미국의 젊은이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너무도 많은 학생들이 거의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는 교수의 무성의한 지도 아래 허송세월을 보낸다. 대학은 미국 사회가 처한 곤혹스런 상황의 한 단면을 여실히 보여준다.
1969년 이후 대학 등록생수는 600만명(29%) 증가했다. 정부의 학비 보조와 ‘모두를 위한 대학’이라는 수사 등이 대학 인구 증가세에 기름을 부었다. 구직자들에게 요구되는 불합리한 자격조건도 ‘학력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하는 주요 요인이다.
당시 기회균등연구재단(FREO) 소속이었던 프레스턴 쿠퍼는 2023년도 보고서에서 핫도그 모양을 한 27피트 길이의 마케팅 차량 ‘오스카 마이어 위너모빌’을 운전하는 연봉 3만5,600달러짜리 일자리에 지원하려면 학사학위가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현재의 달러 가치로 3만 5,600달러의 연봉을 받는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석사학위 소지자의 비율은 지난 2000년까지만 해도 16%에 불과했으나 2022년에 이르러 24%로 늘어났다.
1990년에는 비서직과 행정 전문직 종사자의 9%가 석사학위 소지자였지만 오늘날 이 수치는 33%로 껑충 뛰었고 취업희망자들에게 4년제 대학졸업장을 요구하는 구인공고도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학위 천장’은 주와 지방 정부에서 특히 심각하다. 4만 달러에서 6만 달러 사이의 연봉을 받는 주 정부와 시 정부 공무원들 가운데 63%가 학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다. 민간부분의 경우 해당수치는 28%에 불과하다.
버닝글래스 인스티튜트와 스트라다 교육재단의 최근 보고서는 대학 졸업자의 52%가 불완전취업 상태로 대학에서 배운 내용을 활용하지 못하는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산업 분야의 일자리 75만 개는 채워지지 않은채 남아 있다.
아메리칸 엔터프라이즈 인스티튜트(AEI)의 프레데릭 M. 헤스와 그레그 포니어는 “학생들이 공부에 쏟아붓는 시간도 이전에 비해 줄어들었다”고 지적한다. 1961년에 주당 평균 24시간이었던 4년제 대학 풀타임 학생의 공부시간이 지금은 14시간으로 짧아졌다. 노동통계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2016년도 자료에 따르면 “대학 재학생이 수업을 포함해 교육 관련 활동 전반에 사용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2.76시간, 주당 19.3시간”에 그친다.
2011년 나온 책 ‘학문의 표류’도 1년차 대학생들이 지정된 책을 읽는데 주당 6.3시간을 사용하는 등 수업준비에 매주 14.3시간을 할애한다고 밝혔다. 수 십넌 전에 비해 50% 가량 줄어든 수치다. 헤스와 포니어는 요즘 학생들이 수업준비에 고작 주당 4.9시간을 사용한다는 것이 교수진의 대체적인 생각이라고 말한다. 일을 하는 학생들의 비중이 1990년대 중반의 79%에서 40%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공부에 투자하는 시간은 오히려 줄어든 셈이다.
많은 학생들이 750단어짜리 에세이는 ‘길어서’ 쓰기 힘들다고 푸념한다. 학생들의 64%가 학업에 ‘많은’ 노럭을 기울인다고 답했지만 공부와 과제물을 처리하는데 주당 20시간 이상을 사용한다는 응답은 고작 6%였다. 2024년에는 1학년생의 74%가 책을 11페이지 이상 읽거나 5페이지 이상의 에세이를 쓰라는 과제를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4학년생들의 51%도 마지막 학년에 11페이지 이상의 작문을 한 적이 없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나 노력은 줄어도 성적은 오른다. 헤스와 포니어는 “하버드와 예일 같은 곳의 중간 평균학점(mean GPA)은 3.7 이상이고 전체 학생의 80%가 최소한 A-를 받는다”고 말한다.
경제학자인 아놀드 클링은 대학교육에 대한 ‘자연적 수요’, 다시 말해 학문에 열의를 보이는 학생들의 수가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대학원은 2022넌에만 거의 6만 명의 박사학위자를 배출하는 등 학부생 등록률의 정당한 증가분을 상회하는 박사학위 소자자들을 계속해서 배출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인위적인 학생 수요를 자극해야만 하는데 클링은 대학들이 “간소화된 수업과 학점 인플레이션을 통해 여기에 적응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교사들의 수업감소도 문제다. 헤스와 역시 AEI 소속인 리처드 B. 켁은 가벼운 수업부담이 전문인 지위의 상징이 되었고, 이로 인해 학교는 점점 더 대학원생 혹은 시간제 겸임 강사에 의존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정년보장 교수나 정년보장 경로를 밟고 있는 교수들의 수업 담당분량은 갈수록 가벼워진다. 대부분의 교수들은 9개월 계약직으로 매 학기 13주, 즉 계약기간인 40주 중 26주를 강의해야 하며 이는 종종 매 학기마다 주당 약 15시간씩 강의하는 것과 같다.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 대신에 연구비를 받으려 여기저기 ?아다니거나 2만 4,000개가 넘는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는 ‘출판 인플레이션’에 가담한다. 사정이 이러니 출판물의 질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2015년부터 2019년 사이에 발표된 21만 5,000건의 논문은 거의 대부분 주목을 받지 못한 채 무시됐다.
SAT 주관사인 칼리지보드는 대학 입학을 위해 SAT 시험에 응시하는 학생들은 500-750단어 길이의 지문을 읽고 이해하는 해독능력을 더 이상 요구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대신 지문은 소셜미디어를 훑어보면서 형성된 청소년들의 집중력에 맞춰 25-150단어로 구성된다. 칼리지보드는 (본 칼럼과 비슷한) ‘연장된 분량’의 지문을 이해하는 능력은 ‘대학 진학의 필수적인 선결조건’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늘날의 고등교육 실태에 관해 이보다 더 심한 말을 할 수 있을까?
<
조지 F. 윌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