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주간 낙폭, ‘관세 충격’ 4월 이후 최대…WSJ “월가 베테랑들도 예상못한 전개”
▶ 시스코 前CEO ‘제2산업혁명’ 장담에도 2001년 주가 ⅓토막 전례에 월가 경계감

뉴욕증권거래소 [로이터]
뉴욕증시가 인공지능(AI) 투자 거품 붕괴에 대한 우려 등에 급격한 장중 변동성으로 격동적인 한 주를 보낸 뒤 투자자들이 더 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 보도했다.
뉴욕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1일 반등에도 불구하고 지난주 1.95% 하락했다. 11월 들어서는 3.47% 내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낙폭이 이번 주 2.74%, 11월 들어 6.12%에 달했다.
11월 3주간 낙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정책 발표로 시장 혼란을 초래한 지난 4월 이후 가장 컸다.
이번 주 뉴욕증시에서 나타난 급등락은 월가 베테랑 전문가들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전개됐다고 WSJ은 전했다.
AI 칩 대장주 엔비디아가 지난 19일 증시 마감 후 호실적을 발표했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AI 거품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만, 우리 관점에서는 전혀 다른 모습"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투자자들은 엔비디아의 호실적과 황 CEO의 발언에 환호했고, 시가총액 1위인 엔비디아의 개장 초 주가 상승률은 5%에 달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AI 거품 우려는 당분간 사그라질 분위기였다.
그러나 상승 랠리는 얼마 가지 못했다. 미 동부시간 정오 무렵 S&P 500 지수가 약세로 하락 반전했고, 엔비디아도 결국 3.15% 하락 마감했다. 이날 하루 엔비디아의 장중 고점 대비 낙폭은 8%에 달했다.
시장 변동성 확대 때 이익을 얻는 투자전략을 수행하는 카이로스 인베스트먼트 어드바이저스의 라몬 베라스테기는 "사람들이 진짜로 질겁했다"며 "나와 얘기를 나눈 사람 중 누구도 이런 상황을 예상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격동의 한 주는 21일 반등으로 마무리됐지만, 올해 들어 랠리를 펼치던 주식들은 이미 큰 타격을 입은 뒤였다.
개인 투자자 열풍을 주도한 온라인 거래플랫폼 로빈후드는 이달 들어 26.9% 떨어졌고,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같은 기간 30% 하락했다.
AI 관련 종목들도 큰 타격을 입었다. AI 기반 기업용 소프트웨어업체 팔란티어는 11월 들어 낙폭이 22.76%에 달했다.
AI 관련 주요 기업에 투자하는 글로벌 엑스(X)의 'AI&테크놀로지' 상장지수펀드(ETF)는 이달 들어 10.3% 하락했다.
엔비디아와 같은 빅테크는 막대한 수익을 내고 있다는 점에서 2000년 정보기술(IT) 거품이 터지기 전 인터넷 관련 기업처럼 기업이익 대비 높은 평가가치(밸류에이션)로 거래되진 않고 있다는 게 월가의 대체적인 평가다.
하지만 과거 증시 선례에 비춰볼 때 주가는 기업 뉴스가 부정적으로 변하기 전 이미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고 WSJ은 전했다.
2000년 당시 인터넷 기업의 총아로 꼽혔던 시스코의 존 챔버스 당시 CEO는 2000년 8월 실적 발표에서 매출이 전년 대비 60% 늘었다고 보고하면서 "제2의 산업혁명이 이제 막 시작됐다"라고 말했지만, 회사 주가는 1년 후 67% 하락했다고 이 신문은 소개했다.
투자업체 존스트레이딩의 마이클 오루크 수석 시장전략가는 지난 20일 '그렇게 다르지 않다'라는 제목의 투자자 노트에서 2000년 IT 거품과 현 상황에 유사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월가 일각에서는 수년간의 강세장을 고려할 때 최근 조정이 비교적 완만하게 진행됐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S&P 500 지수 기준으로 볼 때 사상 최고치 대비 낙폭은 4.2%로, 기술적 조정 구간이라고 불리는 10% 낙폭에 미치지 않는다.
투자회사 캔터 피츠제럴드의 매슈 팀 주식파생상품 트레이딩 책임자는 AI나 가상화폐에 집중해 투자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분산 투자한 이들은 특별히 패닉 상태가 아니라며 "대부분의 사람은 여전히 기다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몇 년 새 급성장한 사모대출의 부실 우려나 투자 기반이 커진 가상화폐의 최근 급락도 투자자 우려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자동차 담보대출업체 트라이컬러나 자동차 부품공급사인 퍼스트브랜즈 등 사모대출 자금에 의지해온 기업들이 갑작스럽게 파산 신청을 하면서 부실 대출 관련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다.
사모대출 관련 헤지펀드인 푸리에 자산운용의 올란도 게메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사모대출에서 자금을 빌린 기업 중 일부는 과거 2∼3%대 저리로 현금 흐름의 7배에 달하는 금액을 융자했는데, 이제는 8∼10%의 금리로 재융자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라고 지적했다.
가상화폐 급락도 시장에 부담을 주는 요인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10월 최고치 대비 약 33% 하락한 상태다.
과거 샘 뱅크먼-프리드가 설립한 가상화폐 거래소 FTX가 파산했을 때도 금융시장은 별다른 영향이 없었는데, 최근 몇 년 새 비트코인 ETF 출시 등으로 투자 저변이 넓어지면서 금융시장에 대한 파급력이 커지고 있다고 WSJ은 진단했다.
비트코인 비축 기업인 스트래티지(옛 마이크로 스트레티지)는 지난 6월 고점 이후 낙폭이 60%대에 달하는데, 스트래티지와 같은 기업들이 재무적으로 고전할 경우 이들의 가상화폐 구매 수요가 위축될 것이라고 WSJ은 시장 관계자들을 인용해 분석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